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지혁 사회부

지난 달 금속노조는 기자회견을 열고 "통상임금 체불임금 2,500억원을 출연하겠다"며 "현대차 그룹도 동일 금액을 출연하라"는 '일자리 연대기금' 조성을 제안했다. 하지만 일각에서 '남의 돈으로 생색을 낸다'는 비판이 일자 지난달 29일에는 주요 일간지에 광고를 내고 "'일자리 연대기금'은 통상임금 체불임금 청구권을 가진 현대기아차그룹 노동자들이 사회적 교섭을 통해 제조업 일자리 창출의 길을 모색해보자는 것"이라고 한 발 뺐다.

 공교롭게도 광고가 실린 그 날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의 현장노동조직인 '참소리'는 "금속노조의 '일자리 연대기금' 사업은 절차적 하자는 물론 실체도 없는 돈으로 연대하겠다는 생색내기용 발표로 볼 수 밖에 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금속노조가 '일자리 연대기금' 사업을 조합원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하자 내부 조합원들의 반대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참소리는 "금속노조가 말하는 통상임금 체불분 2,500억원은 금속노조 산하 모든 지부가 100% 승소하고 모든 체불임금을 다 받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통상임금 소송 상황을 보면 2심까지 우리가 패소했다"고 했다. 특히 "금속노조의 발표에 일말의 기대를 가졌을 국민이 이런 진실을 알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이런 일들이 노동조합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사회적으로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금속노조의 '일자리 연대기금'은 확정되지 않은 거액의 통상임금 소급분 지급을 기정사실화하고 이를 근거로 회사측에 2,500억원 출연을 요구한 것이다. 쉽게 말해 "나도 이만큼 낼 테니, 회사도 내라"는 논리인데 노조 내부에서 "누구 맘대로 준다는 것이냐"며 반발한 것이다. 비정규직과의 차별을 해소하고 청년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한다는 취지는 평가 받을만한 지 모르나 비현실적 방안으로 생색내기에 급급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금속노조가 진정 사회적 약자 문제 해결에 나서려 한다면 무분별한 파업을 자제하는 것이 우선이다. 지난해 현대차 노조의 사상 최대 파업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를 받고 있는 협력업체 노동자들이 큰 피해를 입었던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결국 현대차 노조와 같은 기득권의 자발적 양보만이 심각한 청년 실업과 국민정서의 눈높이를 맞추는 유일한 방편임을 인식하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