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 기후로 생필품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물가가 폭등하고 있다. 폭염과 물가 폭등에 서민들의 주름살이 더 깊어가고 있다. 궂은 날씨에 살충제 계란 파동 등 먹거리 불안감은 식탁공포를 넘어 지갑마저 위협하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이상기후는 식탁에 꼭 필요한 식품·채소류의 가격 상승을 걱정스럽게한다. 금상추·금배추란 말에 이어 금고추, 금무, 금양파란 말까지 나올 판이다. 가뭄, 폭염, 잦은 비 등 올 여름 유난이 변덕스러웠던 날씨에다 병해충까지 기승을 부린 탓이다.

울산지역 도매시장과 한국 농수산식품 유통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현재 배추(1포기) 소매가격은 평균 6,535원을 기록했다. 배추 가격이 1개월 전 4,354원, 1년 전 5,062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금배추란말이 실감이 날 정도다. 1개월 전 1,551원, 1년 전 1,048원이던 적상추(100g)의 21일 평균 소매가격은 1,633원을 형성했다. 1개월 전 2,035원, 1년 전 1,967원이던 무(1개)는 2,872원, 1개월 전 1,929원, 1년 전 1,618원이었던 양파(1㎏)는 2,022원으로 올랐다.  주요 품목마다 가격이 급등했는데도 농민들의 심경은 편치 않다. 가격이 올랐다고 한들 흉작 탓에 출하할 물량이 없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가격 상승을 주도하는 농·수·축산물의 가격안정을 위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별다른 대책은 없어 보인다. 울산시는 다음달부터는 추석을 앞두고 '물가안정 특별대책 기간'을 설정해  시·구·군별 '물가대책상황실'을 설치 운영하는 등 물가관리를 본격화할 예정이지만 현재의 이상 기후에 따른 채소가격 폭등 등은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의 추세라면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이 지난해보다 20% 정도 오를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전망이다.

하지만 울산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는 이보다 훨씬 높다. 당장 울산시가 보다 실질적인 물가대책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정부가 물가 안정 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통계보다 체감하는 물가 상승이 서민들을 힘들게 한다. 무엇보다 현장 중심의 행정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지자체의 물가 안정 대책이 효과를 보려면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현장을 뛰며 물가를 점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당근과 채찍을 적절히 구사하며 생산·유통업자의 협조를 구해야 할 것이다. 울산은 어느 지역보다 소비자 물가가 비싼 지역이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