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민의 발이라는 시내버스가 공공의 적이 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시민들의 관심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고 시민들의 실생활에 가장 가까이 있는 공공서비스가 시내버스라는 말이다. 그런데 바로 이 시내버스가 민원 1순위라니 분명 짚고 넘어갈 문제다. 울산시가 지난해 시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 민원 가운데 시내버스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홈페이지 '시에 바란다'와 '시장과의 대화' 창을 통해 제기된 민원은 3,588건으로 이 가운데 도로·교통 분야가 989건(54.1%)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서도 시내버스에 대한 불만이 530건으로 단연 1위였다. 시내버스에 대한 인터넷 민원은 대부분이 결행이나 지연운행, 운전자 불친절 등이다. 종합해 보면 시내버스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부분은 운전자의 친절과 직업의식이라 볼 수 있다. 물론 모든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운전기사들은 시민에 봉사하는 정신은 뒷전인 경우가 종종 있다. 이들은 시내버스를 조기출발하거나 지연 출발, 결행, 무정차 통과, 과속 운행, 신호위반, 급 정차 행위, 장애자 및 노약자 승객을 배려하지 않는 운전행위 등으로 승객들을 불편하게 한다.
 울산의 경우 이미 상당수 지자체가 시행하고 있는 시내버스가 준공영제 조차 시행하지 못하고 그 시행시기를 늦추고 있다. 물론 재정문제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민간이 운영하면서 적자 난 부분만큼 울산시가 보상해주는 식으로 가는 제도는 분명 문제가 있다. 시내버스의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영제도를 개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선진국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시내버스는 지방정부가 운영을 하고 있다. 시내버스는 어차피 사회적 약자가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운영이 되어야 한다. 문제는 교통난을 해결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확대하려는 울산시의 정책은 그 기본이 시내버스의 제도개선부터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철저한 직업의식을 갖지 않은 운전자에게 대시민봉사를 이야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대중교통의 일선에 있는 사람에게 그에 맞는 대우와 신분보장을 해주지 않고  시민의 발로 그 임무와 책임만 강요할 수는 없다. 시내버스 종사자 역시 제도개선이 활발하게 논의되는 마당에 더 이상 시민들이 지적하는 불만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여전히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시민의 발이라는 기능이 살아 있는 시내버스 문제에 시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