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집값이 말이 아니다. 각종 지표마다 전국 최고 하락폭을 기록하며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다주택자들은 연일 정부가 사람잡는다며 노발대발이다. 물론 부동산 하방 압력이 거세진 것이, 그들 말대로 정책적 기조에 기인한 것은 맞다. 다만 그간 '갭 상승' 재미를 누려왔던 것은 잊은채 집값 하락에만 목청을 높이니 모양새가 좋지는 않다.

그들이 전세를 끼고 소유주택수를 늘려 갭 차익을 얻는 동안 반대급부에 놓인 또 다른 이들은 허리가 휘청였다. 아파트가 넘쳐나는대도 시장논리를 무시한 채 아파트 가격이 상승가도를 달리는 바람에 내집 마련은 엄두도 못냈다.

더러는 2년 마다 따박따박 올라가는 전세 보증금을 맞추느라 담보 대출에 신용 대출까지 끌어와야했다. 은행 돈을 내 돈 삼아 집을 사들였던 갭투자자들도 '돌려막기 무한루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결국 지역 가계부채가 20조를 훌쩍 넘기면서 '있는 자''없는 자' 할 것 없이 '빚잔치'에 허덕여야 했다.

이는 지난해 6·19 부동산 대책을 시작으로 8·2 대책, 9·5 후속대책,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까지 수많은 집값 대책이 쏟아져 나온 배경이 됐다. 시장경제를 억압한다는 다주택자들의 원성에도 불구하고 정부 정책은 '마이웨이'를 가고 있다. 그 사이 또 다시 선거철이 돌아왔다. 각 당에서는 늘 그래왔듯 부동산 대책을 줄줄이 내놓을 태세다. 부동산 하락 기조에 불만을 품은 계층은 변화의 바람을 기대하는 눈치다.

왜곡된 상승장에서 상투까지 재미를 봤으면 하락 국면을 피해갈 수 없는 것이 '섭리'다. 반대로 바닥을 찍으면 균형을 위한 반등이 찾아 온다. 주택 경기를 부양하든, 안정화하든 어느 쪽이든 '섭리'를 거스를 만큼 항구적이지 않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몇 번의 선거를 통해 경험했다. 무엇보다 국민의 재산권이 더이상 반짝 공약의 재물이 되는 것만은 되풀이하지 말아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