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침체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증시 등 자금시장은 이상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실물경기를 뒷받침할 기업의 채산성과 가동률은 여전히 바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정부라고 이런 상황에서 뾰족한 묘수가 있을 리 없다. 그러나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마냥 기다리라고만 할 처지가 아니다. 무엇인가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정부만 쳐다보고 있는 국민을 생각하면 마음이 더 조급해지기 마련이다. 잡 세어링과 청년인턴제 확대 실시, 대졸초임 임금삭감 등 정부가 최근 내놓은 고용위기극복 방안도 이런 요구에 부응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울산청년실업극복센터가 지역 대학생들의 의견을 물어봤다. 정부 조치가 합당한지, 아니면 전혀 설득력이 없는 것인지에 대한 설문조사였다. 조사결과는 참담하다고 할 정도의 실패작으로 평가됐다. 대졸초임의 임금삭감에 대해서는 조사대상 학생의 77%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고, 청년인턴제실시 역시 66%의 학생들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정부의 이 같은 조치들이 결국 노동자임금 삭감과 하향평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또 청년인턴제를 확대 실시하는 처방도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결과로 가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특히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청년인턴제 실시와 관련, 청년들에게 10개월짜리 비정규직과 단기·저임금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데 더욱 강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 즉 경기회복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야 할 정부가 임기응변식의 실업자구제 조치에 매달리는 데 따른 불만이다.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조치를 내놓으라는 요구라 할 수 있다. 더욱이 대학졸업생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다. 이 시기에 어떤 직장을 구하느냐에 따라 평생이 결정지어질 수 있다. 때문에 청년들이 평생 동안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직장을 구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그런데 정부가 내놓은 일자리는 이런 현실이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당장 실직만을 면하게 할 뿐, 미래에 대한 설계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좋은 일자리가 없으면 더 좋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것이 청년기의 특권이다. 그러나 10개월짜리의 한시적인 인턴은 이 같은 청년의 특권을 포기하게 하는 것이나 다름 아니다. 정부는 곤궁한 처지에 몰린 청년들까지 지지율만회의 도구로 끌어들여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