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문제 중 시급한 현안이 아닌 것이 없지만, 그 중에서도 화급을 다투는 문제는 바로 노인 문제다. 갈수록 늘어나는 노인 인구로 인해 우리 사회는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문제는 초고령화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노인 일자리 문제와 생계 유지, 경제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아직 없다는 점이다.

울산은 제조업계에 종사하는 젊은 층 인구비율이 높아 각종조사에서 활력 넘치는 도시로 손꼽히고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울산도 노인문제에 안심할 수 없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생각한다

유엔은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지난 200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 인구의 7.1%를 차지하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울산 또한 2018년 현재 기준 노인인구는 12만명으로 고령화 사회를 맞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인 인구의 급증에 비해 이들의 삶의 질은 어떤가? 보험연구원의 '한·일 고령자 노후준비 실태와 연금정책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60세 이상 고령자의 노후자금 충분도는 11.7%으로 일본(37.4%)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 빈곤율은 2015년 기준 48.6%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2016년 3월의 실제 은퇴 연령은 61.9세로 평균 수명만큼만 살아도 은퇴 후에 20년을 더 살아야 하는데, 노인 2명 중 1명은 은퇴 후에 빈곤한 상태로 살아가고 있는 게 현실이다. 노후생활을 대비할 틈이 없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노년층에 대한 복지는 여전히 빈약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노년층의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35만 원으로 최소 노후 생활비(1인 기준, 99만 원)의 3분의 1수준이다.

경제적 어려움은 우울과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몇 년 전 조사에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년층의 10명 중 1명은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으며, 그 원인으로 경제적 어려움(40.4%)을 꼽았다. 노후 생계가 막막하다 보니 노인들은 은퇴 뒤에도 일자리를 찾아 나서야만 하는 게 현실이다. 급여가 얼마가 되든, 근무조건이 어떻게 되든 따지지 않고 취업의 문이 열려 있다면 일자리를 향해 달려갈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이거나 저임금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빈곤을 벗어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노인실업 해소와 생계유지, 경제력 향상을 위한 정책 수단이 시급한데, 이 자리를 빌어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노인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선진국처럼 노인공동체를 만들고 생산과 소비, 판매를 공동으로 실행하여 발생되는 수익을 나누어 갖는 방식이다. 이는 노인실업 해소와 생계유지, 경제력 향상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울산시가 나서서 다가올 미래의 노인문제에 대하여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사회 참여를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령사회 인구구조와 문화의 급격한 변화에 적응력을 키우기 위해 사회참여 및 지역연계 사업에 대한 행·재정적 전담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 정서 지원 확대를 위한 심리상담사 전담 인력 보충도 무엇보다 절실하다. 지금의 어른들의 모습은 미래의 우리 모습이다. 오늘날 물질적 풍요와 안녕은 노인층의 피나는 노력의 대가임을 인식할 때 이들의 복지생활과 생계 유지, 경제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책무일 것이다. 울산에 거주하시는 많은 어르신들을 위해 그들의 삶을 함께 고민해주고, 노인일자리 대책 마련을 위해 힘써 줄 것을 당부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