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 현대자동차,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는 1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자동차 산업 노사 관계자, 자동차 부품업체, 시민단체,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자동차 산업 미래전망과 고용변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유은경기자 usyek@
울산시, 현대자동차,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는 1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자동차 산업 노사 관계자, 자동차 부품업체, 시민단체,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자동차 산업 미래전망과 고용변화 토론회'를 개최했다. 유은경기자 usyek@

4차 산업혁명과 공유 경제 등의 도래로 산업구도가 급변하면서 자동차 업계의 고용구조의 변화가 불가피해진 만큼, 정부차원의 지원정책 수립과 노사 간 인식전환을 통한 상생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울산시와 현대자동차 노사는 13일 시청 대회의실에 서'자동차 산업 미래전망과 고용변화 토론회'을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자동차 산업 노사 관계자와 자동차 부품업체, 시민단체,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자동차산업 메카인 울산에 가져올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토론회에 앞서 자동차분야 전문가와 현대자동차 노사의 주제발제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백승렬 어고노믹스 대표는 '미래형 자동차 발전방향과 국내 자동차산업 전망'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ICT기술 도입은 전기차, 자율주행차, 카쉐어링 등 산업의 근본구도 변화를 견인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동차 공급과잉시대와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위기대응 전략이 요구된다. 해외 주요 완성차 업체는 생산능력을 축소하고 연구개발 비중을 높여 변화에 대응 중"이라면서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의 자동차산업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백 대표는 이를 위해 △고용안정성, 임금, 작업조직 등 고용정책의 전반적인 재검토 △자동차 산업 내 수직화와 경쟁력 불균등에 대한 부품산업 정책 마련 △국가와 지방정부 차원의 장기적 투자와 인력양성 등 적극적인 정책 마련 등을 제시했다.

윤선희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4차 산업 연구위원회 팀장은 '4차 산업 확산과 스마트 공장 도입, 현대차 고용과 노동조합의 대응'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노사 간 인식전환을 통한 공동목표 수립 및 상생방안 실천이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윤 팀장은 "2025년 내연기관차 생산비중이 약 57.1% 줄면 엔진, 변속기, 소재사업부 인력이 2,700여 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친환경차 확산, 자율주행차 상장상황에 맞는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신규부품 유치, 국내공장 우선정책, 신기술 점진적 도입 등 점진적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진택 현대자동차 노사협력실장은  "미래차 개발과 자동차 공유경제 등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며 "인력 감소보다 정년퇴직이 많으면 교육훈련을 통한 인력 재배치가, 반대의 경우 노사 공유가치 확대를 통한 노사인력운영 대책 수립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세계 자동차산업 2025년까지 전기차분야 3,000억 달러 이상, 자유주행차 분야 1,000억 달러 이상 투자 예상 및 중장기적으로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며 "중앙정부 차원의 종합 지원정책 수립과 선제적 법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조형제 울산대 교수의 사회로 김종철 울산고용노동지청장, 이상호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정창윤 울산시 노동특보가 지정 토론을 벌였다. 

이 전문위원은 "한국 자동차산업은 국내수요 감소, 수출 부진 등으로 현재 연 450만 대인 생산능력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사용자는 미래형자동차 생산공장 설립 등 전략적 투자체제, 상생협력기금 조성 등 이익공유 시스템을 구축하고, 노조는 노동친화적 고용안정방안 제안, 고품질-고수익-고소득 지향형 생산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이 전문위원은 이어 "지자체는 이해갈등 조정, 지역투자 지원, 지역연대 촉진 등을 통해 자동차 산업의 혁신과 사회통합적 일자리 창출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노동특보는 "3대 주력산업의 위기, 대체 신성장 동력의 지연이 산업수도 울산의 현주소이다. 자동차 산업 변화가 도시의 미래에 대한 문제임을 우선 인식해야 한다"고 언급한 뒤 "정부와 울산시, 현대차 노사 등은 부품산업 위기에 대한 선제적인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 대응을 위해 지역 차원의 사회적 대화를 서둘러 진행해야한다"고 피력했다.  하주화기자 usjh@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