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 전 그땐 그랬다. 북구에 대규모 주택개발이 진행되면서 어떻게든 학교를 짓지 않으면 '학생수용대란'이 불가피했다. 그래서 우선 짓고봐야했다. 교육부는 융통성이 없었다. '출산율 감소'를 모든 사업의 잣대로 삼아 학교 신설 올스톱 기조를 유지했다. 교육부가 '적정 규모'라는 말을 쓰기 시작한 것도 당시부터였다. 울산이 강동고를 짓는 대신 효정고를, 송정중 대신 화봉중과 연암중 중 1곳을, 제2호계중 대신 호계중과 농소중을 폐교하겠으니 3개 학교 신설만 허락해달라고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울며겨자먹기 식'으로라도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으니 망정이지, 그렇지 못했다면 걷잡을 없는 수용전쟁으로 난리통이 됐을 게 뻔하다. 교육 수요자의 자격을 박탈 당했다며 여기저기 피켓을 들고 머리띠를 두른 북구 주민들의 민원과 집회로 몸살을 앓고 있을 터. 급격히 늘어가고 있는 북구 인구 지표가 이를 짐작케 한다. 2016년 19만7,800여 명이었던 북구 인구는 올해 21만2,400여 명으로 늘었났고, 현재도 인구 유입이 거세게 진행되고 있다.


이제 와서 조건부를 이행하지 못해 교육부의 핀잔을 듣고는 있지만, 시간을 다시 돌린다 해도 '정부의 셈법'이 바뀌지 않는 한 선택은 크게 달라질 길이 없다. 당시엔 불가피하게 폐지 대상으로 이름을 올렸지만 이들 학교도 주변 여건이 바뀌면서 무조건 폐지 수순을 밟을 수 없게 된 것은 어느 누구의 과오도 아니지 않는가. 인구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한, 학생수용에는 항구적인 법칙이 있을 수 없다.


지난 3년 사이 공동화됐던 구도심이 재개발로 다시 꿈틀대거나 온통 전답이었던 외곽이 불야성으로 바뀌고 있다. 학교를 단순히 줄이고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들을 쫓아다니는 데 초점을 맞출 수 밖에 없는 이유도 바로 변화무쌍한 인구이동의 흐름 때문이다. 상황이 바뀔 때마다 교육부를 어르고 달래는 것보다는 학교를 늘리지는 않기 위해 예전 조건부 학교 대신 폐지 가능한 학교를 확보하고 이를 최후의 카드로 내밀어 협상에 임하는 것이 좀 더 현명한 '수용의 묘'이지 않을까.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