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혁신도시는 도심과의 접근성이나 시너지 효과 측면에서 전국 유일의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장점이 건설공사 원가부담에서는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실제로 울산혁신도시의 경우 조성원가가 전국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높다. 조성원가가 높다보면 분양가가 높을 수밖에 없고 결국 입주업체나 연계시설의 확충도 쉽지 않다는 답이 나온다. 이 때문에 울산시는 어제 건설사업단에서 열린 간담회를 통해 정부에 울산혁신도시 건설비 가운데 일부를 국비로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울산시의 입장은 조성원가를 인하하는 방안으로 사업시행자가 부담해야 하는 도로, 상하수도 등 각종 기반시설 공사비를 국비로 충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11개 공공기관이 들어서고 관련 연구소와 유관기관, 연계시설이 원활하게 갖춰지려면 국비지원이 필수적이다. 울산의 경우 혁신도시로 이전할 11개 공공기관 가운데 정부로부터 이전승인을 받은 기관은 한국석유공사와 에너지관리공단,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동서발전, 한국산업인력공단, 노동부종합상담센터, 한국산재의료원, 국립방재연구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9곳이다. 나머지 근로복지공단과 운전면허시험관리단 등 2곳은 기관 통합이 이뤄지지 않아 아직 이전 승인이 나지 않은 상태다.
 이제 불과 2년도 남지 않은 혁신도시 건설사업이 이처럼 지지부진한 것도 사업비의 부담이 큰 문제도 분명 하나의 요인이다. 이미 석유공사와 방재연구소는 토지주택공사와 울산혁신도시내 부지 매매계약을 했고 이전 문제를 본격화하고 있지만 나머지는 여전히 분명한 일정이 나와 있지 않다. 혁신도시의 승패는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의 원활한 이전이 핵심이다. 물론 울산시와 관계기관에서는 관련기관들의 이전 추진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완공 때까지 차질 없이 이전이 마무리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시간만 허비하면 반쪽자리 혁신도시로 문을 열 공산이 크다. 울산 혁신도시는 84만평의 면적에 11개 기관에 따른 2,409명의 직원, 그 가족들까지 합하면 대략 7,000 여 명의 인구가 새로운 도시를 만들게 된다. 새로운 도시건설은 시설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결국 도시는 사람이 만드는 일이고 사람중심의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직간접 시설과 의료 문화 교육 등 생활에 필요한 기본시설의 유치가 절대적이다. 건설비 과다로 분양가가 높다면 이같은 관련시설의 우너활한 유치는 요원하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울산 혁신도시의 국비지원을 통해 확실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