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도시 울산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울산시가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에 팔을 걷었다. 내년 예산의 경우 6.2 지방선거 일정에 따라 자칫 업무공백과 준비차질이 빚어질 소지가 있다. 이럴 때 일수록 보다 확실한 준비가 필요하다. 울산시의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 목표액은 총 1조7800억원(국고보조 5800억원, 국가시행 1조2000억원)이다. 주요 사업은 총 75건 1조2,434억원으로 일반국고 38건 1627억원, 광특회계 20건 1107억원, 국가시행 17건 9700억원 등이다. 신규사업 16건 507억원, 계속사업 59건 1조1927억원으로 필수적이고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해야 할 일은 많고 예산은 한정돼 있으니 지자체간의 경쟁도 치열할 것은 자명하다. 벌써부터 울산은 물론 각 지방자치 단체장을 비롯해 해당 부서장들이 사업비 확보를 위해 중앙부처를 수시로 방문하고 있다. 지자체마다 국비 확보 대책반을 구성, 수시로 점검·평가한 후 인센티브 반영 등의 고육지책을 동원하고 있을 정도다. 국비 확보 노력은 해당지역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현실적인 주요 지표로 인식된 지 오래다. 우선 특정사업의 추진 배경으로부터 파급효과에 이르기까지 그 당위성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할 경우 아예 검토 대상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다.
 내년 예산 가운데 울산 과기대 교육 및 연구 인프라 구축사업과 울산자유무역지역지정 사업, 동북아 오일허브 울산지역 사업, 울산 - 포항간 고속도로 건설 등 굵직한 사업이 즐비하다. 문제는 정부의 자세다. 정부는 이미 4대강 사업 추진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자 지원 정책, 국방, 복지부문 등 세출요인 증가로 지방에 내려 보낼 국비지원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울산시는 이를 대비해 이달부터 대책반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기존 국가사업의 예비 타당성 검토나 중기재정계획, 투융자심사 등 사전 절차부터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 이 같은 기본적인 조치에 소홀하면 각 지자체의 요구사항 가운데 우선순위에서부터 밀리게 마련이다. 아무리 사업에 대한 논리가 개발돼 있더라도 체계적인 전략 부족으로 사업비 확보단계에서 탈락하는 경우도 흔하다. 국가재정운영 기조와 연계하는 사업의 경우 타 지역보다 차별성에 대한 비교우위성을 확보해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 국회의원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공조체제를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국제도시를 위한 밑그림을 원활하게 펴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비확보를 차질 없이 해 와야 한다. 지역 정치권을 비롯해 모든 인적자원과 지역역량을 총결집시킬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