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가계동향 조사 결과는 충격적이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8% 줄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 1.3% 감소한 2009년 3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폭 감소다. 게다가 실질소득은 지난해보다 3.9%나 줄었다. 특히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은 뺀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2.8% 줄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지면서 기저효과가 컸고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소득이 감소한 게 원인이라고 통계청이 설명하고는 있지만 우려가 만만치 않은 것은 사실이다. 

더 걱정되는 것은 가처분소득 감소가 소비지출 둔화로 이어지면서 서민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경제 전망이 여전히 어둡다는 게 불안감을 키운다. 한국은행은 지난주 기준금리를 연 3.50%에서 또다시 동결했다. 올 2월, 4월, 5월, 7월에 이은 다섯 차례 연속 동결이다. 이처럼 한은이 7개월여간 금리를 3.5%에서 묶어 두고 있는 데에는 경기 상황이 불안하기 때문이다. 수출이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중국 부동산 시장발 금융위기설도 불거지면서 한국 경제의 반등 시점이 불투명해진 탓이다.

여기에 수출은 이미 지난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경기 회복 시점이 지연되면서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정부가 9월부터 무역수지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지만 사실상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줄면서 나타난 '불황형 흑자'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4%를 유지하면서 내년 전망치를 2.2%로 3개월 전보다 0.1%포인트 낮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 경제가 이래저래 지뢰밭에 갇힌 형국이라는 뜻이다. 결국 하반기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서는 경제체질 개선과 미래 성장기반 확충뿐이다. 울산신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