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여름 장마와 폭염, 태풍 등 기상이변과 국제 상황 등으로 예상됐던 물가상승이 현실화되고 있어 서민들의 우려가 크다. 특히 오는 28일~10월 3일 긴 추석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하는 성수품 가격이 폭등해 주부들의 한숨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물가 고삐를 다시 단단히 잡아야 할 때다.

 통계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기보다 3.4%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번 물가상승률은 지난 2월부터 둔화하다가 7월에 2.3%로 2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석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서게 됐다. 기저효과 착시가 걷히니 8월 물가상승률이 대번에 3%대로 복귀했다는 뜻이다. 게다가 올해 4월 3.7%를 기록한 뒤로 4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라는 점에서 불안감을 키운다. 

8월 농산물 5.4% 상승…국제유가·이상기후 등 글로벌 변수 위협
 무엇보다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5.4% 상승했고, 생활물가지수도 3.9% 올라 추석 물가를 위협한다는 게 걱정이다. 물가 기조를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역시 3.9% 상승함으로써 외환위기 및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맞먹는 수준으로 고공행진 중이어서 더 그렇다.

 사실 소비자물가 3%대 반등은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다. 지난 7월에 기록한 올해 상승률 최저치 2.3%는 기저효과가 가져다준 수치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원화 약세가 맞물리면서 국내 물가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점이다. 

 안그래도 산유국들의 감산 지속으로 배럴당 70달러 안팎이던 국제유가가 80달러대로 뛰어 휘발유·경유 가격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서는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이상 기후에 따른 폭염과 가뭄, 홍수 등이 지구촌 곳곳을 강타하면서 국제 식료품 가격도 치솟고 있다. 여기에 국내에서는 공공요금 인상, 원유(原乳) 가격 상승에 따른 식품값 도미노 인상 등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정부가 급한 대로 유류세 인하 연장, 취약 품목 저율할당관세 적용 등을 가동하고 있지만 신선식품과 수입 곡물가 등의 동반 상승 기류가 역력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식료품처럼 하방 경직성과 지속성이 높은 품목은 물가 불안을 더 자극한다는 점이다. 체감하는 밥상 물가에 대한 부담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일단 오른 물가는 잘 떨어지지 않는다. 전년 동월 대비 3%대를 당분간 유지한다는 예상을 예사롭게 봐 넘겨서는 안 된다. 물가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10월 들어 다시 2%대로 돌아와 안정화한다는 정부 전망만 기다릴 때는 아니라는 얘기다. 

정부, 16만t 규모 20대 성수품 공급 등 장바구니 물가안정 총력전
 정부가 본격적인 추석 성수기를 앞두고 이 같은 물가 상승 전환에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추석물가안정대책을 마련한 것도 마찬가지다. 우선 주요 성수품 가격을 작년 대비 5% 이상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가격 상승폭이 큰 닭고기와 사과·배 등은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또 연말까지 수산물 할인지원율을 온·오프라인은 30%,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는 40%로 각각 확대해 최대 60%까지 할인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닭고기 할당관세 물량 3만t을 도입하고, 사과와 배 등 총 16만t 규모의 20대 성수품 공급을 시작한다. 오는 28일까지 역대 최대인 670억원을 투입해 농축산물 할인행사도 추진하고 숙박쿠폰 60만장을 풀기로 했다.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선 예비비 800억원을 투입해 연말까지 최대 60% 할인을 지원하기로 했다. 모처럼 실효적 성과를 거두기를 바란다.

 그렇다고 정부와 지자체는 방관해서는 안 된다. 물론 물가를 한순간에 원위치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물가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는 평가라도 받도록 노력해야 한다. 농수축산물 수급 불안을 해소시키기 위한 대책과 함께 세밀한 물가 관리로 체감물가 괴리 현상을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추석을 앞두고 있는만큼 앞으로 더 면밀하고 다각적인 물가 안정 대책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