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도 초등학교 취학 통지서 발송과 예비 소집이 이달 시작된다. 아직 행안부에서 취학 대상 아동의 정확한 숫자를 집계한 것은 아니지만, 교육계 안팎에서는 내년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2017년생부터 출산율이 급감하며 출생아 수가 뚝 떨어져 사상 처음으로 40만명 밑으로 내려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안그래도 2016년생이 입학한 올해 초등학교 1학년생의 경우 40만 1,752명으로 40만명을 겨우 넘겼는데 2017년 이후 저출산의 심각성이 더 심각해져 30만명 선을 사수하지 못하는 것도 이젠 시간문제라고 한다. 그동안 우리 사회가 속수무책으로 저출생 현실을 맞이했듯 학교 소멸이라는 현실도 사실상 무대책으로 맞고 있는 셈이다. 

이제라도 지금 시행되고 있는 정책들이 먼 안목을 가지고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냉정하게 되돌아보아야 하겠다.

무엇보다 걱정되는 것은 앞으로 초등학교 입학생 규모가 더 빠르게 줄어들 것이라는 점이다. 이같은 빠른 속도의 학생 수 감소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가속해 도서·산간 지역 학생의 수업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고, 대학 경쟁력 하락으로도 번질 가능성도 크다. 더 나아가 노동력과 구매력 감소에 따른 장기 저성장 고착화 등 사회·경제적 부작용도 갈수록 심각해질 수밖 없다. 교육부가 저출산과 같은 사회 문제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기도 했지만, 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지난달에 교육부는 내년에 관련 국을 신설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다음 달부터 시행될 조직개편에서는 결국 한 단계 낮은 과 단위 조직을 만드는 데 그쳤다. 극도의 실망감이 묻어나는 조치다. 그것도 임시 정원을 활용한 과장급 자율 기구라는 점에서 저출산 해결 의지조차 안 보인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 저출산 문제도 그렇고 이에 따른 학생수 감소도 마찬가지로 더이상 손을 놓아서는 안될 발등의 불이다. 신중하고도 치밀한 정책적 접근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