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지역에도 '탈교직' 현상이 심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우려가 크다. 울산교육청이 최근 지역 내 교원을 대상으로 내년 2월 명예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총 178명에 달했기 때문이다. 이는 2021년 같은 기간 대비 32명 늘었으며 지난해(159명) 보다는 19명, 올해(155명)에 비해서는 23명이 늘어난 수치다. 학교급별로는 유치원 3명, 초등 68명, 중등 85명, 사립학교 22명이다. 게다가 보통 8월 퇴직자가 30~50명인 것을 감안할 때 내년 퇴직 교원 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올해 206명을 웃돌 전망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는 마당이어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 같은 배경은 교사들이 명퇴를 신청한 이유에 있다. 한 때는 '연금'이라는 현실적 이유로 명예퇴직 증가가 많았던 시기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는 게 문제다. 지역 교원단체는 최근 잇달아 발생하고 있는 교권침해 논란과 함께 업무 과중, 학생지도 부담 등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을 내놨다. 물론 건강이나 경제적 이유도 있지만 교권 추락으로 일선 학교에서 사명감과 자긍심을 갖고 학생들을 가르치기가 어렵다는 얘기가 원인 가운데 하나임은 분명해 보인다. 실제 교권침해 문제로 극단적 선택을 한 경우도 발생한데다 급여 등 처우에 대한 불만과 과도한 행정 업무 등이 교사를 학교 밖으로 내몰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명예퇴직 증가가 교원 수급 공백과 기존 교사들의 사기 저하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공교육의 근간을 흔들 수 있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저출산 시대에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지역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은 결국 교사들의 창의적 인재 육성 의지에 달렸다. 교권과 학생 인권이 상호 대치 관계가 아니라 함께 증진돼야 하는 이유다. '탈교직' 현상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기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