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사회의 고령화 속도가 유례없이 빠르다는 건 익히 아는 사실이다. 이미 올해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993만명이다. 전체 인구의 19.2%나 된다. 인구의 20%, 5명 중 한 명 이상이 노인인 '초고령사회'가 눈앞에 다가온 셈이다.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나눠서 보면 전체 250개 시·군·구 가운데 51%, 절반 이상이 2022년에 벌써 초고령사회가 됐다. 이 가운데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부산으로 매년 0.9%포인트씩 고령 인구 비중이 증가했고, 울산이 매년 0.8%포인트씩 늘며 뒤를 이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지역별 고령화와 고령층 노동시장 현황'에 따른 것이다.

특히 대도시에서 고령화 속도가 유독 빠른 건 인구 구조의 변화 요인도 있지만, 지방 산업의 붕괴 등으로 청년층 인구 유출 효과까지 가세하면서 65세 미만 경제활동인구가 해마다 다른 지역으로 많이 빠져나간 탓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로 인한 가장 큰 문제는 일할 사람이 줄어들면서 잠재성장률을 하락시켜 경제는 더 어려워진다는 데 있다. 울산시가 어르신들의 노후 소득 보충과 사회참여 활동 기회 제공 등을 위해 노인 일자리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점은 이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울산시는 지난해보다 164억원 증가한 총 689억원을 노인일자리 만들기에 쏟아부을 예정이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1만5,994명의 어르신들이 올해 2월부터 12월 말까지 총 254개 사업단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동하게 된다. 무엇보다 단순 양적 팽창이 아닌 경험이 많고 역량이 높은 신 노년 세대 수요에 맞춘 게 눈길을 끈다. 게다가 다양한 양질의 일자리를 적극 개발해 지역 문제해결, 공급이 부족한 사회서비스 영역에 업무 보완을 하는 등 질적 내실화를 통한 전문 일자리 확대에 초점을 맞춘 것도 매우 바람직하다. 노인일자리는 경제적 지원이라는 측면 외에 근로기회 제공이라는 소중한 의미도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노인일자리 직무를 개발하고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공공부문 사각지대를 보완할 노인 일자리가 앞으로도 더욱 확대돼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울산신문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