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흘간의 설 연휴가 끝나고 새로운 일상이 시작됐다. 모처럼 느긋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설명절을 보냈을 법한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한 모양이다. 가족·친지들과 정을 나누는 설렘과 반가움은 잠시였고 오히려 민감한 정책과 사회적 사안이 많은 터에 갈등의 골만 확인한채 일상으로 돌아왔다고 보는 게 옳을 듯하다. 

설을 앞두고 발표된 의대정원 확대 문제만 해도 그렇다. 가족 친지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정년연장 및 근로시간 문제도 같은 맥락이다. 애초 출발선이 다르기에 평행선만 달리다 서로 얼굴을 붉히고 의만 상할 따름이었다.

더욱이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암담한 경제 상황에 설 민심은 더욱 어수선했다. 서민들이 체감하는 경제는 어디 한 군데 성한 곳 없고 수렁은 더 깊어졌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특히 이번 설은 4월 총선을 60여일 앞둔 시점이어서 무엇보다 설 밥상머리 화두는 총선 등에 모아졌다. 이 또한 세대간 지역간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쉽지 않기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이제 설 연휴가 끝나고 정치권은 말 그대로 총선모드에 돌입하게 된다. 연휴기간 받아든 설 민심은 여야 진영에 따라 조금씩 엇갈리는 것도 사실이다.

여당은 민생 앞에 정쟁이 있을 수 없다며 경제회복에 정치권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반면 야당은 민생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정권 심판론을 부각시킬게 뻔하다. 주변을 둘러보면 그런 소리가 나올만도 하다.

설 민심의 요지는 결국 '먹고 살기 힘드니 경제를 살리라'는 것으로 모아질 수 있다. 서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정치권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이제라도 밑바닥 민심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무엇보다 필요한 건 먹고사는 문제 해결에 여야가 따로 없다는 것이다. 당리당략에 치우쳐 경제 살리기에 소홀하다간 이번 총선에서 성숙한 시민의식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그게 이번 설 민심임을 명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