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젊은 층 여성의 자살률 증가가 노동시장에서 밀려난 여성들의 심리적 고통이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여성학' 최근호에 실린 '노동시장에서의 위기심화와 청년여성 자살률' 논문에서 중앙대 사회학과 이민아 교수가 밝힌 내용이다.

 이에 따르면 29세 여성 자살률은 2011년 인구 10만명당 24.6명에서 2017년 13.4명으로 줄다가 2018년 13.9명으로 반등한 뒤 2019년 16.5명, 2020년 19.4명, 2021년 20.2명으로 다시 늘어났다. 30~34세 또한 2011년 24.4명에서 2017년 16.4명까지 감소했다가 2018년 18.6명, 2019년 19.5명, 2020년 19.4명, 2021년 21.6명으로 반등했다. 게다가 25~29세 비정규직 비율은 2011년(22.99%)부터 2018년(23.34%)까지 정체 수준이었으나 2019년 29.64%로 급증한 뒤 2020년 27.69%로 주춤했다가 2021년 31.94%로 다시 늘어났다. 이런 경향은 30~34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실업률과 청년여성 자살률 간에는 일관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자리의 질을 반영하는 비정규직, 시간제 근로 비중은 2018년을 기점으로 증가한 청년여성 자살률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이들 연령대 여성 자살률과 임금노동자 중 비정규직 비율이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25세 이상 및 30대 여성의 경우 비경제활동의 이유 중 취업, 진학 준비가 심리적 고통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청년여성의 니트 비율과 자살률 간의 정(+)적인 관계는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청년여성이 생존의 위기에 몰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자살의 원인을 일자리, 노동시장에서만 찾을 수는 없다. 하지만 청년여성의 절망은 사회구조적, 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힌 문제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청년여성의 자살을 정신병리학적 문제로만 접근하면 개선이나 해결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무엇보다 노동시장 내 차별과 여성 노동의 주변 환경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이 박사의 지적은 되새겨 볼 만하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