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에서도 올 1학기부터 24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가 운영된다. 하지만 울산시교육청이 당초 목표로 했던 40%의 절반 수준에 그쳐 아쉬움을 더한다. 최근 교육부가 공개한 '올해 1학기 지역별 늘봄학교 운영 현황'에 따르면 3월 2일부터 전국 초등학교 6,175개 중 2,741곳(44.3%)이 늘봄학교 운영을 시작한다. 울산은 전체 초교 124곳 중 24곳(19.8%)이 참여해 타 시도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데는 일선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 반발기류가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이들이 학교에 오래 있는 만큼 학부모와의 마찰이나 민원이 늘어날 것이란 우려에서다. 또 추가 업무에 대한 교사들의 부담과 공간 확보 문제가 남아있는 점도 희망 학교가 적은 이유로 분석된다. 이러한 가운데 울산시교육청은 1학기 늘봄학교 24개교 운영에 이어 2학기 전면 시행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 할 것이다.

 알다시피 늘봄학교는 초등학생 방과후 학교와 돌봄교실을 통합한 것이다. 아침 정규수업 전이나 최장 저녁 8시까지 수업 외에 놀이 중심의 예체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2시간 무료로 제공하는 제도다. 무엇보다 우리나라가 당면한 심각한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도입된 것이어서 의미를 더한다. 맞벌이 부모의 최대 고민이 자녀 돌봄의 어려움과 사교육비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낼 때는 돌봄을 걱정하지 않았으나 초등학생이 되면서부터 돌봄이 여의치 않아 부모 중 한 명이 직장을 그만두거나 아이를 '학원 뺑뺑이' 돌리는 고충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이는 아이 돌봄을 학부모에서 '퍼블릭 케어', 즉 공공의 영역으로 전환하는 의미가 담겼다. 사교육비 부담 경감 효과와 함께 어린 자녀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학교에서 생활한다면 안전 문제도 일정 부분 해결된다. 또한 여성의 경력 단절을 방지하는 역할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대를 모은다. 

 문제는 제도 안착을 위한 관건이다. 반발하는 교원단체와의 원만한 합의 도출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미래를 위해 양보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취지는 좋지만 어느 일방의 손해와 부담증가는 지속가능한 정책이 되지 못한다. 지속적인 소통으로 학교현장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울산에 맞는 양질의 늘봄학교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노력해 나가야 하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