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내년 과학조사용 포경(捕鯨ㆍ고래잡이) 활동을 개시할 방침을 국제사회에 공개해 27년 만에 우리나라 해안에서 고래잡이가 재개될지 주목되고 있다. 국내 유일의 고래관광도시로 성장하고 있는 울산 남구의 김두겸 청장에게 포경 재개에 대한 기대와 준비방안 등을 들어본다.

 

△정부의 고패 포경 재개 방침이 울산 남구의 고래 관련 사업과 경제에 미칠 영향은?

-남구장생포 내에는 고래박물관과 고래생태체험관, 고래바다여행성 등 고래관광 관련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다. 또 이미 오래 전부터 고래고기는 울산의 전통 식문화로 자리잡아왔는데 이는 고래관광과 함께 이끌어가야 할 중요한 사업이다.
 

"솎아내기식 포경 통해 해양생태계 질서 바로잡히길"


 과학목적의 조사포경이 시작된다면 불법이란 인식도 줄어들고 고래고기의 공급도 정상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가격도 인하될 것이다. 장생포를 비롯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고래관광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배가 될 것이라고 본다.
 
△장생포가 과거의 명성을 되찾을 것으로 보는가?

-과학포경이니 만큼 향후 포경의 형태가 어떻게 전개될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고래연구소가 장생포에 위치해 있고 고래해체장 건립 등 울산 남구가 고래와 관련한 인프라가 국내 유일하게 갖춰져 있는 만큼 장생포의 경제는 지금보다는 훨씬 나아질 것이라고 본다.


 현재도 혼획된 고래가 주로 울산을 통해 유통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과학포경이 시작된다면 장생포가 그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리라 기대한다.
 
△연안포경을 상업적 포경으로 보는 IWC 회원국들을 설득하기 위한 복안은?

-일본을 비롯한 노르웨이, 덴마크, 러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등은 과학적이던 생업을 목적으로 하던 이미 오래 전부터 포경을 실시하고 있다. 포경을 반대하는 미국도 알래스카 원주민들의 생업을 위한 포경을 지금까지 연장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포경재개 요청이 묵살되어 왔다.
 다행히 정부가 IWC의 승인이 없어도 과학포경을 실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IWC 국가의 설득이 필요한 사항이 아니며 주권국가로써 우리 땅, 우리 바다에서 나는 자원을 자국의 이해관계에 맞게끔 활용한다는 것이다. 연안포경, 그것도 과학포경에 대한 결정까지 남의 나라 눈치를 보며 할 이유는 없다고 본다.

△최근 고래 개체수의 증가로 어민들의 피해가 크다고 하는 데 어느정도인가?

-고래류에 의한 어민들의 피해는 국민들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연근해 수산물 생산량이 123만톤 가량 되는데 이중 고래개체 수 증가로 10% 이상을 먹어치우고 있어 수산자원 감소 등 연간 피해액이 4,000억원에 이르는 등 연근해어업의 경영기반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번 과학포경을 시작으로 연안 내에 있는 고래개체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한편 연안에 34종의 고래류 등 보호종에 대한 보호는 철저히 진행하고 나머지 개체수가 증가해 어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밍크나 일부 돌고래류에 대한 솎아내기식 포경을 진행하자는 것이다.
 
△지금 울산시민들은 남구청 고래 포경에 대한 행보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하고 싶은 말은?

-상대적으로 보면 포경을 찬성하는 분들이 소수일지도 모른다. 그저 고래를 잡아 죽이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울산이나 포항 등과 같이 고래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은 국민들은 왜 고래를 잡아야 하는지 그 이유보다 고래를 죽인다는데 혐오감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부분을 다 설명하고 이해시키기는 어려운 문제라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1986년 상업포경이 금지된 이후 26년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눈치를 보며 주권국가로서 우리바다에 대한 권리행사를 하지 못했다.


 정부의 이번 과학포경 허용으로 보호종 고래류의 철저한 보호와 불법포경을 뿌리 뽑고 솎아내기식 포경을 통해 해양생태계의 질서가 바로잡히길 간절히 바란다.
 최창환기자 cchoi@ulsanpress.net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