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해도시 이미지를 벗으려는 울산시와 시민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울산지역 국가산업단지의 토양오염은 여전한 모양이다. 환경부가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 등 대규모 산업단지 4곳에 입주한 업체들에 대한 토양환경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이를 잘 보여준다. 이번조사에서 30개 업체가 토양의 '오염우려 기준'이나 지하수의 '공업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조사가 진행된 공단은 울산미포단지 외에 청주지방산업단지, 시화국가산업단지, 익산국가산업단지로 환경부는 이들 단지내 업체 중 업종 등을 감안해 오염 가능성이 높은 산업체 439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는 것이다. 울산미포단지에서 16개 업체, 시화단지에서 11개 업체가 각각 오염 기준을 넘어섰으며 청주단지와 익산단지에서는 각각 2곳과 1곳이 기준을 초과했다고 한다. 기준 초과율은 토양이 4.7%였지만 문제의 심각성은 지하수에 있다. 지하수의 경우 기준초과율이 19.9%에 달해 토양보다 지하수에서 오염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가 훨씬 많았다고 한다. 특히 울산지역의 경우 석유화학 관련 업체들에서 오염기준 초과 사례가 많아 TPH 등 화학물질이 기준치의 8배가 넘는 곳이 있었다고 하니 입을 다물지 못할 지경이다.
 공단지역 토양오염은 비단 울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번 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 울산 이외에도 14개 업체가 기준을 초과한 오염도를 보였다.  문제는 울산에서만 16곳의 업체가 토양과 지하수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오염도가 나타나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공단지역의 경우 화학물질의 토양유입이 어느 곳보다 많다. 화학물질은 토양뿐만 아니라 지하수와 하천 오염을 불러일으키게 마련이다. 이 물을 먹거나 여기서 자란 식물을 섭취하면 그 만큼 중금속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정부는 공단 인근지역에서 생산되는 쌀, 배추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한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 결과는 중금속에 오염된 쌀 101t을 폐기처분할 정도로 심각했다. 정부는 문제지역의 농산물을 전량 수매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떨칠 수가 없다. 토양이든 지하수든 한 번 오염되면 완전복구가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든다. 초기단계에 오염원을 최소화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전인지 모니터링과 함께 오염물질 차단작업에 나서야 한다. 자연은 자체 정화기능을 갖고 있어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대처한다면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루 빨리 공단지역 토양복원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