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지진 피해에 대비해 '지진피해 원인 조사단 구성 및 운영 조례(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한다. 지진 관련분야 전문가 등 15∼20명으로 구성되는 조사단은 지진발생 원인과 시설물별 피해 조사·분석, 지진재해 경감대책 수립, 중앙지진조사단과의 정보 공유 및 지원 등을 담당하게 된다.  

울산의 경우 잦은 지진 발생 지역이다. 특히 위로는 월성, 아래로는 고리 원전이라는 거대한 핵발전소가 들어서 있는 울산은 지진에 대비한 시스템 마련이 어느곳보다 중요한 지역이다. 울산시도 이번 조례 제정에 대해 지진재해 원인을 효과적으로 분석해 재해를 줄일 목적으로 조례를 제정한다고 밝히고 있다. 시민들의 체감 정도는 낮은 편이지만 사실 울산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한해 평균 90여회 이상 발생하는 지진 가운데 울산에서만 30% 이상이 감지되고 있다. 이런데도 우리는 아직 지진에 대해서 만큼 무사태평이다. 내진설계 강화는 말할 것도 없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해 시나리오도 서둘러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다.

울산은 이미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비롯해 고대 문헌에도 지진관련 기록이 수도 없이 많을 정도로 지진과 무관하지 않은 도시다. 특히 통일신라 혜공왕때는 지진으로 백여명이 사망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 정도면 현재의 리히터 기준으로 강도 6을 훨씬 상회할 정도다. 역사적으로 한반도가 결코 지진 무풍지대가 아니었음을 입증하는 사례다. 한반도에 최근 들어 지진빈도가 부쩍 늘어나는 것 역시 대형지진을 예감케 하는 전조가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위험시설물이 집중되어 있는 울산으로선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지금 철저한 대비를 하지 않으면 정말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을 만날 수 있다. 울산은 석유화학공장 등 위험물질이 많은 지역이라 강진이 발생할 경우 상상을 초월할 재앙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들 공단은 현재 개별 기업의 자율관리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도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요인이다. 막연하게 기업에서 알아서 잘 하겠지, 또는 울산에 설마 그런 대지진이 일어나겠느냐고 생각한다면 이것이 더 위험하다. 위험은 일만분의 1이라도 가능성이 있으면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재난관리의 기본수칙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