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가 지역 주력산업의 연구개발 기능을 강화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방과학연구단지' 유치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기초과학은 마치 공기나 물과 같은 존재로, 없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그 소중함을 뒤늦게 깨닫기 마련이다. 특히 기초과학은 창의적 과학기술의 원천으로, 기초과학 없이 선진 과학강국이 될 수 없고,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글로벌 무한경쟁시대를 헤쳐 나갈 수 없다. 세계적으로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초과학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국가적 연구 지원이 주로 중대형 규모의 연구에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다. 울산시가 지방과학연구단지 유치에 발벗고 나선 것도 이같은 흐름 속에서 지방의 성장동력을 찾아내기 위한 나름대로의 전략이다. 지방과학연구단지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예산을 지원받게 되며, 기존의 주력산업에 정보기술과 바이오기술 등을 융합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울산이 지향해야 할 미래투자의 첫 번째 과제이기도 하다. 기업체와 대학, 연구소가 유기적으로 연계해 지역발전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연구단지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말이다.
 미래는 기술경쟁의 시대다. 최근 전 세계에 불어 닥친 경제위기 속에서도  기술경쟁력을 갖춘 기업은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 있다. 이 때문에 기업에서는 이 같은 시대의 변화 추이에 맞춰 신기술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일반의 관심사는 이것과는 크게 멀어져 있는 현실이다. 말로는 신기술이 국가경쟁력이라 하면서 행동은 더디기만 하다. 또 기술개발을 위한 기업체의 숨 막히는 도전과 노력에 힘을 실어주지는 못할망정, 각종 규제로 발목을 잡고 있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이후 지방에 대해 여러 가지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아직 나오지 못하고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가 가시적인 것보다 먼 미래를 내다보는 투자라는 점에서 당장의 성과를 바라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정부의 기업지원이 보다 피부에 와닿는 전략으로 접근할 수 있기를 바란다. 울산지역 기업체 가운데 기술개발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업체가 전체의 42.8%에 불과하다는 결과도 있다. 신기술개발을 기업 자력으로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렵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정부는 이번 기회에 말로만 지방살리기를 외치지 말고 보다 확실한 미래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5+2 광역경제권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라도 연구단지 지정부터 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