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파업에 따른 손실을 보여주는 지표인 '근로손실일수'가 20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노동조합원 수가 5만 명이 넘는 현대자동차가 8년 만에 파업 없이 한 해를 보낸 효과가 통계에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2019년 근로손실일수는 40만2,000일로, 2018년 대비 27.9% 감소했다"며 "최근 20년 동안 최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근로손실일수는 파업으로 1일 8시간 이상 조업 중단을 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는 지표다. 파업 참가자 수에 파업 시간을 곱하고 이를 1일 근로시간(8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파업 참가자가 많고 파업 기간이 길수록 증가한다. 근로손실일수의 감소는 그만큼 노사관계가 안정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현 정부 들어 근로손실일수는 2017년 86만2,000일, 2018년 55만2,000일, 2019년 40만2,000일로 계속 감소했다. 지난해 근로손실일수는 줄었지만, 파업 건수는 141건으로 전년(134건)보다 5.2% 증가했다. 파업 건수는 2005년(287건)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해 파업이 발생한 사업장 141곳 가운데 1,000인 이상 사업장은 46곳으로, 전년(26곳)보다 76.9% 증가했다. 그러나 1,000인 이상 사업장의 평균 파업 일수는 지난해 9.9일로, 전년(16.8일)보다 41.4% 감소했다. 큰 사업장의 파업이 늘었음에도 대체로 짧은 기간에 끝나 전체 근로손실일수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노동부는 해석했다.

특히 현대차 노사가 무분규 임단협 타결한 부분이 지난해 근로손실일수 감소에 기여한 요인으로 꼽혔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해 9월, 8년 만에 파업 없이 임단협을 타결했다.

근로손실일수가 감소 추세이지만, 노사관계가 안정화된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국제노동기구(ILO) 기준에 따른 '임금 노동자 1,000명당 근로손실일수'의 2007∼2017년 평균치를 보면 한국은 42.33일로, 일본(0.25일), 미국(6.04일), 네덜란드(8.37일), 영국(23.36일)보다 훨씬 많았다. 한국과 비슷한 국가는 핀란드(37.11일), 이탈리아(48.50일), 스페인(56.59일) 등이었다. 조홍래기자 usjhr@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