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주에 이어 포항까지 조류인플루엔자(AI)에 뚫렸다. 지난 주말 경북 포항 산란계 농장에서 발견된 조류 인플루엔자(AI) 항원이 고병원성으로 최종 확인됐다. 

경상북도는 포항시 북구 청하면의 한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H5N8형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되자 경북도와 포항시는 해당 농장에서 사육 중인 닭 24만 마리와 농장 인근 500m 내에서 사육하던 4만 5,000마리 등 28만 5,000마리를 살처분하고 있다. 

이번 검출에 따라 국내 가금 사육농가의 고병원성 AI 발생은 모두 82건으로 늘었다. 무엇보다 경북의 상황이 심각하다. 경북지역에서 발생한 AI는 모두 6건으로 지난해 12월 상주를 시작으로 구미, 경주, 문경 등에 이어 포항이 6번째다. 

문제는 이같은 추세가 울산지역까지 AI 공포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다. 이와관련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이 지역 내 AI 바이러스 검사 결과 현재까지 모두 '음성'이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현재까지 시행한 4,858건에 대한 AI 검사에서 모두 음성이 나와 울산은 청정 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야생 조류 분변 예찰 검사를 매주 1회씩 시행해 4개 지점에서 총 1,010점을 검사했다. 또 전통시장 내 토종닭 중개 상인과 차량, 기타 가금류 대상 검사를 2,308건, 분뇨 처리장, 식용란 선별 포장업 등 가금 관련 축산 시설 환경 검사를 270건,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매월 모니터링 검사를 1,270건 각각 했다. 

거점 소독 시설과 통제 초소에 대해서는 환경 검사를 수시로 해 차량 전파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경북 경주 메추리 농가와 문경 산란계 농가 AI 발생과 관련해서는 역학 관련 59개 농가에 대해 검사해 이상 없음을 확인했다. 이동 제한 해제 시까지 지속적인 예찰과 관리를 할 방침이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코앞까지 온 AI공포가 언제든지 울산까지 유입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긴급 대응 체계 유지를 위해 방역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고 있다"며 "설 연휴에도 비상 근무 체계를 유지해 우리 시로 AI가 유입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철새도래지가 있는 울산과 경남, 그리고 부산 등지는 AI가 언제든 뚫릴 수 있는 지역이다. 울산이 조류인플루엔자에 경계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바로 조류독감이 철새가 주 매개체라는 사실 때문이다. 철새는 전파속도와 피해규모가 초특급일 수 있다. 과거의 사례를 보면 철새의 이동경로를 따라 AI 발생이 집중됐고, 지역 간 수평전파를 통해 전국으로 확대됐지만 속수무책이었다. AI 예찰에서부터 허점을 보인데다 위기경보 단계 조정 실패 등 농식품부 방역시스템에서도 문제점이 도출됐다.

그런 전철을 다시 밟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제적 조치와 차단 대책이 중요하다. 조기 점검에서 오류가 없도록 반드시 문제점을 해소해 나가고, 철저한 AI 방역 체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축사시설문제 해소에서부터 중앙과 지방 정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방역전문가 확충 등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다.

울산의 경우 몇 차례 감염 사태 이후 AI 바이러스에 취약한 가금류 농가를 집중 관리하고 있다. 조류독감의 경우 철새가 주 매개체이기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비상한 자세로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긴장을 늦추는 순간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일도 겪은 경험이 있다. 무엇보다 이제는 AI가 연례행사가 되지 않도록 방역매뉴얼부터 새로 짜야 한다. 초기 방역시스템을 완벽하게 구축한다면 급속한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조류독감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다. AI가 전파될 경우 농가는 물론 자영업자들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울산지역에서는 1,055 농가에서 46만 4,000여 마리의 가금류를 사육하고 있다. 

지난 2017년 조류독감 사태로 농가는 물론 자영업자의 피해는 상상을 초월했다.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침체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조류독감으로 또다시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한다.

조류독감의 전파는 예상을 하거나 준비를 한다고 막을 수 있는 재난이 아니다. 언제 어떤 경로로 들이닥칠지 모르는 전염병이다. 하지만 미리 대처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장기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장기적으로는 축사시설문제 해소에서부터 중앙과 지방 정부간 유기적인 협조체계 구축, 방역전문가 확충 등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다. 긴장을 늦추는 순간 사태가 확산되는 일도 겪은 경험이 있다. 

무엇보다 이제는 AI가 연례행사가 되지 않도록 방역매뉴얼부터 새로 짜야 한다. 초기 방역시스템을 완벽하게 구축한다면 급속한 확산을 막을 수 있다. 환절기를 맞아 느슨해질 수 있는 방역시스템을 제대로 살피고 철저한 감시태세를 게을리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