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제(데이트)폭력이 해마다 늘고 있다. 데이트폭력은 현재 또는 과거 연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성적 공격행위를 포괄적으로 뜻한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데이트폭력 사건으로 검거된 이는 2014년 6,675명에서 지난해 1만 2,841명으로 증가했다. 8년 새 92.4%나 급증한 것이다. 방법도 갈수록 다양화되고 난폭해지면서 우려를 더한다. 

 최근 서울에서 데이트폭력으로 경찰 조사를 받은 30대 남성이 풀려난 뒤 곧바로 자신을 신고한 전 연인을 찾아가 흉기로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도 발생해 충격을 주었다. 심각성을 더한 것은 경찰이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아 귀가 조치한 후 10분 만에 벌어진 참변이었다는 점이다. 현행 '스토킹범죄 처벌 등에 관한 법률'과 '가정폭력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는 피해자 보호조치가 규정돼 있으나 연인 간 범죄행위에는 마땅한 피해자 보호 장치가 없다는 의미여서 더 그렇다. 데이트폭력 사건 후 가해자와 피해자의 분리 조치가 즉각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보복 살인이 일어난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수사기관의 안일한 인식과 부실한 법·제도가 또 한 명의 억울한 피해자를 낳은 셈이다. 데이트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 처벌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우선 법테두리에서 벗어나 사각지대에 있는 데이트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상담·의료지원 등 전방위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여러 요인과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실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부터 서둘러 개선하는 게 순리다. 제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현장에서 실현되지 않는다면 구두선에 그칠 수밖에 없어서다.  

    더불어 혼인·사실혼 관계가 아니라는 이유로 가정폭력처벌법을 적용할 수 없는 법률상 문제부터 손질을 해야 한다. 피해자 보호조치가 지나치게 '정상가족' 틀 안에 매여 있는 부작용을 해소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당장 국회에 계류돼 있는 데이트폭력 처벌법부터 시급히 입법화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