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컬대학30'은 학령인구 감소,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사회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로 교육부가 추진 중인 사업이다. 혁신 계획을 갖춘 대학을 2026년까지 30여 개 선정하는데 올해는 10개교를 선정해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무엇보다 지원 규모가 파격적이고 혜택도 광범위해 선정 여부에 따라 대학의 명운이 달렸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중앙부처 대학재정지원 사업 선정 시 가점 부여 및 예산 인센티브 등도 뒤따른다고 하니 대학마다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문제는 '대학 간 통합'을 통한 캠퍼스 간 자원 공유, '유사 학과 통합'을 교육부가 혁신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사실상 '구조조정'에 해당하는 사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어서 저출산의 여파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대로서는 위기감도 엿보인다. 

올해 10개교 5년간 1000억 지원…'대학간 통합' 구조조정 술렁
 교육부가 지난 1일 공개한 '글로컬대학30 사업' 접수 현황은 이같은 지방대학의 사정이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이번에 접수한 대학이 모두 108곳으로, 신청 가능한 대학 166곳의 65.1%에 해당한다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교육부는 이미 각 대학에 5쪽 이내의 혁신기획서를 제출하라고 요청해놓은 상태다. 교육부는 이를 바탕으로 이달 중 15개교 내외를 예비 글로컬대학으로 지정하게 된다. 예비 지정된 대학들은 이후 지방자치단체, 지역 산업체와 공동으로 혁신기획서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워야 한다. 실행계획은 광역지자체를 통해 오는 9월까지 제출받아 10월 중 10개 안팎의 대학을 최종 확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시가 '글로컬대학'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는 울산대학교를 위해 적극적인 행정 지원에 나서고 있는 것도 같은 이런 배경에 기인한다. 무엇보다 글로컬대학으로 지정을 받으려면 '대학 간 통합'과 같은 혁신방안이나 '지자체와 연계한 지역사회 기여도' 등 2가지 최우선 선정 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울산의 경우 울산대와 통합할 대학이 마땅치 않다. 때문에 울산시와 연계한 지역사회 기여도에서 점수를 챙겨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기존 대학에 지원하던 예산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RIS) 예산 등을 대학 신전략 추진과 연계해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한 국립대학이 없는 울산에서 지역거점대학으로 울산대학의 역할과 중요성에 적극 공감하고 대학의 혁신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공동협력기반 조성에도 적극 매진하기로 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울산시-울산대, 교육혁신 동반성장사업 발굴·협력 강화 속도전
 더불어 오는 7월 조직개편 시 대학 유치 및 대학혁신을 담당하는 미래교육혁신단을 신설하는 등 울산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마련과 글로컬대학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는 것도 의미가 크다. 약 20년 후 울산의 대학 입학자원은 현재보다 절반 가까이 감소(2022년 46만명·2040년 26만명)할 것으로 예상돼 지역 중심의 과감한 대학혁신을 통한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담고 있어서다. 

 울산시도 교육혁신을 위해 지역 대학지원 체계 구축, 교육혁신 정책 예산 확보 등은 말할 것도 없고 민간 협력 연결망(네트워크) 구축, 산학연 협업 연계와 함께 인재양성 기반(인프라) 확대, 제도개선 협력 등 지역혁신 과제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지금은 교육부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과 글로컬 30사업 등으로 지자체와 대학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울산대가 글로컬대학 선정에 탈락한다면 타지역 대학과의 격차는 벌어질 게 뻔하고 또한 인재 유출과 지역 공동화라는 고질적인 현상은 가속화할 것이다.

 울산대와 울산시가 함께 손잡고 지역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동반성장사업을 만들어 지원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할 때다. 교육부도 국가 균형발전 차원의 지역 안배도 충분히 고려할 것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