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구재앙'이라는 말이 어제오늘 생긴 게 아니다. 합계출산율(2.06명)이 인구 대체 수준(2.1명) 밑으로 떨어진 게 지난 1983년이었으니 이때부터 이미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정부가 이를 해결한답시고 2006년부터 5개년 계획까지 만들면서 그동안 수백조원의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40년이 다 되도록 해법이 나오기는커녕 출생아·결혼·출산율 '트리플' 감소만 드러냈다. 여성이 평생 아이 둘을 낳아도 인구로는 본전인데 1명도 낳지 않으니 미래의 결과는 이미 나와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대로라면 국가 소멸은 우려가 아닌 현실이 될 판이다.

 무엇보다 울산의 상황이 더 걱정이다. '인구유출은 전국 최고' '출생은 전국 최저' 수준을 찍었다. 특히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산율은 급락했고,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0.77명으로 사상 처음 0,7명대로 떨어졌다. 통계청이 지난달 말에 발표한 올 6월 인구동향에 근거한 수치다. 울산의 조출산율은 4.0으로 부산 3.8에 이어 전국 광역시 단위 중 최저 수준이다. 울산인구 내리막 길에 브레이크가 없는 처지니 암울함이 가시지 않는다. 여기에 울산의 순이동(전입-전출)이 -598명으로, 순이동률 -0.6%에 달하며 전국 최고 수준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지역으로 꼽혔다. 지역소멸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지금의 저출산 실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아무리 쏟아부어도 모자란 양육비, 일·가사·육아 분담에 대한 사회적 불균형, 무시되는 비혼 출산 등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마련돼야 실마리가 풀릴 것이다. 특히 울산은 산업도시인만큼 양육과 보육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지역 특성에 맞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기업의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

 게다가 울산은 청년 취업률이 극히 저조하다. 청년들의 취업문제가 해결돼야만 자연스럽게 결혼과 출산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청년세대들이 지역에서 제대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