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달 10일 치러지는 총선을 앞두고 여야 모두 공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울산의 경우 여야 대진표가 결정돼 본격 선거운동 채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예비후보들과 지역민들의 반발 목소리가 나오는 등 공천으로 인한 파열음도 끊이지 않는다. 여야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다는 전략으로 타개책을 찾고 있지만 그리 쉽지는 않은 모양새다. 

 그럼에도 빠지지 않고 있는 키워드는 '청년'과 '여성', 그리고 '일자리'로 집약된다. 오늘날 우리가 처한 사회문제의 시작인 동시에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어 공약마련에 심혈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들이 탄탄한 직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경제 여건이 조성되면 결혼과 저출산 문제는 자연히 해결된다는 관측에서다. 그 생태계가 지역구에서 제대로 만들어지면 지방소멸 걱정도 상쇄된다. 더불어 인구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도 경제 활력도를 높이는 좋은 방법 중 하나다. 여성들이 경력단절 혹은 비정규직의 고리에 묶여 있어선 사회가 활용할 인력풀이 턱없이 좁아질 수밖에 없는 게 작금의 현실이라고 보면 대안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고용 호조세지만 단순노무직 비중 늘어 질적 개선 장담 어려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나타난 고용지표가 이를 반영한다. 청년층 고용지표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상대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자리가 늘어 고용의 질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15~29세 청년층 인구 감소로 취업자는 줄었지만, 택배 라이더 등 단순노무직이 증가한 탓이다. 단순노무직은 포장·운반·청소·하역 등 상대적으로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단순한 업무를 하는 취업자다.

 실제 지난해 월평균 청년층 취업자는 389만9,000명인데 이 중 단순노무직은 34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보다 5,000명 줄었지만, 단순노무직은 같은 기간 약 2만명 늘었다. 이에 따라 청년층 취업자에서 단순노무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8.4%에서 지난해 9.0%로 상승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2년에는 청년층 단순노무직이 40만3,000명까지 늘면서 비중이 10.1%까지 치솟기도 했다. 2022~2023년 청년층 취업자 10명 중 1명은 단순노무직 종사자인 셈이다. 최근 운수창고업 단순노무직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영향인 것은 분명하지만 특히 30대 이하 젊은 연령대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는 건 심상찮다. 8월 기준으로 2018년과 지난해 연령별 단순노무직 비중을 비교하면 청년층(8.5→9.1%)과 30대(6.0→7.2%)에서만 증가세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취업은 쉽지만 평균 소득이 낮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플랫폼 노동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어서 사회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청년층 단순노무직이 택배 라이더, 화물적재·하역운반 등 운수·창고업에 몰려 있다는 것도 문제다. 운수·창고업 청년 단순노무직은 2018년 3만6,000명에서 지난해 6만명으로 2만4,000명(66.7%) 급증하면서 전체 청년 단순노무직 증가 폭(2만명)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반면 도소매업(-1만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2천명) 등에서는 줄었다는 것은 시시하는 바가 남다르다. 정부가 지난해 청년층 고용률이 46.5%로 전년(46.6%)에 이어 2년째 2000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고용 호조세를 부각하고 있지만 정작 고용의 질 개선까지 장담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노동시장 위축·저출산문제 심화 우려…전방위적 대책 마련해야

 청년층 고용이 단순노무직에서 고착화되면서 질적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결혼 시기가 더욱 늦어지고 이에 따라 저출산 문제도 더욱 심화되기 마련이다.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가 현실이 된 현 상황에서 우리 사회가 청년 노동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노동시장마저 위축되고 국가 경제의 잠재성장률도 저하될 것이다. 정부는 장차 국가를 이끌어갈 청년들이 희망과 의욕을 가지고 경제활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청년층 고용문제가 지금은 난제 중의 난제처럼 보이지만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정부는 정치권과 함께 보여주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