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남구의회 전경. 남구의회 제공
울산 남구의회 전경. 남구의회 제공

 

울산 남구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복지건설위원회는 지난 21일 행정경제국과 건설도시국을 대상으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하며 자생단체 운영, 안전관리, 지역경제, 하천정비 사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문제점을 집중 점검했다.

 행정자치위원회 주민자치과 소관 감사는 최근 남구가 추진했다 철회한 자생단체 배가운동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임금택 의원은 "최근 자생단체 회원 배가운동이 철회된 것으로 안다. 철회 사유가 무엇인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자생단체가 본연의 역할보다 각종 행사 동원 수단으로 쓰이고 있고, 일부는 1인이 여러 단체에 중복 가입하는 실태까지 있다. 배가운동보다 유령회원 정리가 우선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혜인 의원도 "회원 모집에 강제성이 들어간다면 자생단체의 의미가 퇴색된다"며 "세대교체도 필요하지만 20~40대는 현실적으로 참여가 어렵다. 인구 구조 변화를 고려해 행정도 자생단체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방향으로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지현 의원은 "최근 자율방재단 활동에서 회원 차량 부족으로 이동에 어려움을 겪었고 현장에서도 젊은 일손이 부족했다"며 "오해 소지가 있어 철회됐더라도 배가운동 필요성 자체는 분명히 체감했다"고 말했다.

 김대영 의원 역시 "자생단체는 동원 대상이 아니라 봉사를 실천하는 주민들"이라며 "기존 회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세대교체와 신규 회원 확보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민자치과는 "자생단체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세대교체 기반을 마련하고자 배가운동을 추진했지만, 동 간 세밀한 소통 부족 등으로 최근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복지건설위원회 건설도시국 대상 감사에서는 안전관리·수의계약·하천정비 지연 등 현안들이 도마 위에 올랐다.

 박인서 의원은 "여천천 오수 무단 방출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며 "최근 신정현대홈타운 상가 옹벽 배관에서 여천천으로 오수가 유입된다는 제보가 있었다. 즉각적인 현장 확인과 원인 파악, 책임자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덕종 의원은 조달·수의계약의 외지 업체 편중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건설과·도시창조과의 1인 수의계약 상당수가 타지역 업체에 집중되고 있다"며 "경기 침체로 지역 소상공인이 생존 위기에 놓여 있는 만큼, 남구 내 업체 우선 발주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정훈 의원은 지방이양사업으로 추진 중인 하천정비사업의 장기 지연을 지적했다. 2017년 시작된 두왕지구 지방하천정비사업은 9년이 지난 현재도 공정률이 71%에 그치고 있으며, 2022년 착수한 운천지구 정비사업 역시 공정률이 10%에 머물러 있다. 

 이 의원은 "주민들은 수년째 사업이 마무리되길 기다리고 있지만 사실상 희망 고문이 되고 있다"며 "지방하천 관리 강화를 포함해 사업 추진 속도를 대폭 높일 것"을 촉구했다.   김경민기자 uskkm@

저작권자 © 울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