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24일 내년 6·3 지방선거 후보 경선에서 당원 투표 비율을 현행 50%에서 70%로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던 것을 하루 만에 뒤집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지방선거총괄기획단에서 제안한 당심 반영 비율 50%에서 70%로 상향하는 방안에 대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아직 당심 비율을 올리는 안에 대해 보고받지 못했다"며 "당 대표도 이 부분은 사전 협의가 이뤄지거나 보고 받은 점이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잘 싸우는 후보를 선정하는 차원으로 아이디어를 낸 것으로 이해한다"며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있는 과정이고 여러 목소리를 경청할 것"이라고 했다.
바뀐 경선룰은 최고위원회와 상임전국위,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앞서 총괄기획단 조지연 의원은 전날(23일) 기자들과 만나 "당세를 확대하고, 당 기여도 (평가 등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7 대 3'이라는 비율을 건의드리게 된 것"이라며 "당초 '5 대 5' (방안 추진) 얘기도 있었지만 '7대 3'으로 정리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중도층 이탈이 고질적 문제로 자리잡은 상황이지만 해법은 정반대 방향에서 찾고 있는 것이라며 당 안팎의 파열음은 상당하다.
한 초선 의원은 "미우나 고우나 개혁신당과 후보를 따로 내면 지방선거 타격이 불 보듯 한 데, 당은 강성 일변도로만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대의원·권리당원 1인 1표제'를 밀어붙이는 것과 맞물려 "강성 당원과 특정 지역의 여론이 과잉 반영되는 민주당과 닮아간다"(수도권 의원)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편,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입법 독주'에 맞서 또다시 필리버스터 등 대여 강경 투쟁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최 수석대변인은 오는 27일 추경호 전 원내대표 체포 동의안 국회 표결에 대해서는 "저희는 당연히 거부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에서 위헌정당 해산을 언급하는 데 대해 "내란정당으로 몰아가기 위한 시발점으로 본다. 그래서 단순히 추 전 원내대표가 아니라 우리 당에 대한 도전이고 위협이기 때문에 강경 투쟁을 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 것"이라고 했다. 김응삼기자 uskes@
